2026년 최저시급 인상과 연봉 실수령액 변화 총정리



➡️ 실수령액 계산기

2026년부터는 급여 체계에 크고 작은 변화가 예상됩니다. 특히 최저임금 인상과 4대 보험 요율 조정, 그리고 소득세 관련 개정 사항이 함께 적용되면서, 같은 연봉이라도 실제 받는 돈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저시급 변동 내용연봉 1억원 기준 실수령액 계산 결과를 자세히 소개합니다.


 내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?

정부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, 2026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,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. 이는 전년도보다 290원 증가한 것으로, 인상률은 2.9%입니다.

주 40시간 기준 월 환산금액은 약 2,156,880원이며, 이는 주휴수당 포함 기준입니다. 모든 업종 및 직종에 동일하게 적용되며, 비정규직·아르바이트 모두 해당됩니다.


 세금과 보험료의 변화: 실수령액에 주는 영향은?

최저임금만 오른 게 아닙니다. 2026년부터는 국민연금, 건강보험 등 4대 보험 요율이 인상되며, 일부 세금 공제 항목도 변경되었습니다. 결국 같은 연봉이라도 실수령액은 줄어들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.

아래는 연봉 1억원 기준으로 계산한 월 실수령액 예시입니다.

항목 금액 (원)
세전 월급 8,330,000
국민연금 (4.75%) 330,000
건강보험 (3.595%) 250,000
장기요양보험 (12.95% of 건강보험료) 32,400
고용보험 (0.9%) 63,000
4대 보험 총합 675,400
소득세 1,100,000
지방소득세 110,000
세금 총합 1,210,000
실수령액 (월 기준) 6,444,600

즉, 세전 기준으로는 833만원을 받지만, 실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은 약 644만원입니다. 이는 총 연봉의 약 77.3%에 해당하며, 나머지 22.7%는 세금과 보험료로 빠지게 됩니다.


 다양한 연봉대별 실수령액 비교

2026년 적용 세율 및 보험료율을 반영해, 여러 연봉 구간별로 실수령액이 얼마나 차이 나는지 비교한 표입니다.

연봉(만원) 세전 월급 4대 보험 세금 실수령액(월) 실수령액(연) 수령 비율
5,000 417 33.8 28 355.2 4,262 85.2%
6,000 500 40.6 38 421.4 5,057 84.3%
7,000 583 47.4 53 482.6 5,791 82.7%
8,000 667 54.2 73 539.8 6,478 81.0%
9,000 750 61.0 93 596.0 7,152 79.5%
10,000 833 67.5 121 644.5 7,734 77.3%

 실수령액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

보다 개별적인 상황에 맞춰 실수령액을 확인하고 싶다면,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. 네이버에 검색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으며, 총 연봉, 부양가족 수, 비과세 수당 등을 입력해 자동 계산이 가능합니다.

예상보다 적은 금액이 나올 수 있지만, 이는 세금과 보험료로 빠져나가는 항목이 많기 때문입니다. 개인별로 다를 수 있는 부분이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세요.



 결론: 연봉보다 중요한 건 실수령액

  • 최저시급은 10,320원으로 인상
  • 4대 보험 및 세금 증가로 실수령액 감소
  • 연봉 1억원 기준 실수령액 약 644만원
  • 자신의 상황에 맞춘 계산 필수

💡 Tip: 실제 급여명세서는 회사 복지나 추가 공제 항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, 계산기는 참고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
다음 이전